▷기하광학 입문하기_Color dispersion◁
-색 분산 편-
색 분산은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이 겹친 광선이, 매질이 다른 경계면에 입사할 때
빛의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므로 굴절각의 차이가 발생하여 광선이 색깔별로 갈라지는 현상이다.
- 태양 스펙트럼 이야기 -
태양빛에 무지개의 7가지 색깔의 파장이 섞여있다는 것을 뉴튼이 분산 프리즘을 사용하여 밝혀냈다.
이후, 프라운호퍼(Fraunhofer)는 이를 더 자세하게 조사하였고 태양 스펙트럼에 검은선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.
이 검은선을 프라운호퍼 선 (Fraunhofer lines) 또는 흡수선이라고 한다.
프라운호퍼는 약 570개의 흡수선을 측정하였고 이를 A부터 K까지의 문자로 주요 선을 지정하였다.
이 선들은 태양의 대기와 지구의 대기의 물질로 인해 특정 영역이 흡수된 것이며 여러 가지 원자나 이온에 따라
고유한 파장에서 발견된다. 그래서 이 흡수선을 조사하면 원소의 종류와 존재량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
앞서 살펴본 태양 스펙트럼에는 다양한 파장의 빛이 섞여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백색광이 입사하였을 때
색깔별로 갈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태양빛에는 살펴보았듯이 흡수선 즉, 프라운호퍼 선들이 존재할 것이다.
그림에서 n=1이므로 공기 중에서 태양빛이 입사하여 매질이 다른 n'에 입사하였을 때, 경계면에서 빛이 굴절될 것이다.
그런데 태양빛에는 여러 가지 파장대가 존재하므로 각각의 파장대에 따라 다른 각도로 굴절하게 될 것이다.
이때,
그러면
따라서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굴절이 커진다는 것도 알 수 있다.
즉 파란색과 빨간색을 비교하였을 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굴절률이 더 커서 더 많이 꺾이게 된다.
위 그림을 보면 Blue, Yellow, Red 가 파장에 따라 굴절각에 차이가 생겨서 꺾이는 정도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그리고 굴절 관계에 의해 다음식이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혹시 이 부분이 이해가 안 된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자.
2020/05/27 - [꿀나리의 광학 이야기 ★] - 반사와 굴절_ Reflection and Refraction_작도법_기하광학
반사와 굴절_ Reflection and Refraction_작도법_기하광학
▷기하광학 입문하기_Refraction and Reflection◁ -반사와 굴절 편- Reflection (반사)와 Refraction(굴절)의 법칙은 많이 알고 있을 것이다. 어쩜 철자도 이렇게 비슷한지. 반사와 굴절은 기하광학에서 빛의 �
kkulnari.tistory.com
Dispersion 은 각도의 차이라고 생각하자. 그러면 위 식에서 Dispersion 관계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.
최종적으로 분산력에 대하여 다음의 식을 얻을 수 있다.
분산력 (Dispersive power) :
분산 지수 (Dispersive index) :
( 분산 지수는 분산력과 역수관계이다. )
이 관계는 가시광선 영역의 스펙트럼에서만 적용된다.
+추가내용
그림의 F, D, C는 앞서 언급했던 프라운호퍼 주선에 대한 명칭이다.
그래서 다음의 표를 보면 해당하는 원소와 파장 등 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
왼쪽부터 명칭, 화학원소, 파장인 것 까진 알겠는데 그러면 Crown, flint라는 것은 뭘까??

플린트 유리 (Flint Glass) : 비교적 높은 굴절률 높은 분산을 갖는 광학 유리.
크라운 유리 (Crown Glass) :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과 낮은 분산을 갖는 광학 유리.
이는 위키백과를 참고하였는데, 분산이 분산력인지 분산 지수인지 궁금해서 좀 더 찾아보았다.
위에서 말하는 분산은 분산력이며, 표에 수치는 아베 수( Abbe number ) = 분산 지수 (Dispersive index)를 뜻한다.
말이 은근히 헷갈리는데, 크라운 유리만 보면, 낮은 분산을 갖는 광학 유리라고 하였다.
그런데 숫자만 보면 58.7로 다른 것에 비해 높은데...?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.
표에 나온 v는 분산 지수로써 분산력의 역수이다.
정리하자면 크라운 유리는 낮은 분산력을 갖고 분산력의 역수인 분산 지수 (=아베 수)가 58.7인 것이다.
개인적으로 색 분산은 분산력과 분산 지수 때문에 할 때마다 헷갈린다..
색 분산_Color dispersion_프라운 호퍼_기하광학
'꿀나리의 광학 이야기 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리즘에 의한 굴절_편차각 계산하기_Refraction by a Prism (0) | 2020.05.30 |
---|---|
외부 반사와 내부 반사_임계각과 전반사_Lummer-Brodhun cube (0) | 2020.05.29 |
반사와 굴절_ Reflection and Refraction_작도법_기하광학 (0) | 2020.05.27 |
빛의 특성에 관하여_About light _기하광학 입문 편 (0) | 2020.05.26 |
카메라의 해상도에 관하여_MTS 편 (0) | 2020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