▷렌즈 디옵터 편◁
-렌즈의 디옵터란 무엇일까?-
- 디옵터의 의미 -
내가 기하광학을 배웠을 때 접했던 디옵터의 의미는 이러했다.
The displacement x in centimerters at a distance of 1m gives the power of the prism in diopter (D)
= A prism having a power of 1 prism diopter (1-D prism) displaces the ray on a screen 1m away by 1cm.

1 Diopter : 1m 떨어진 곳에서 1cm 꺾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. (그림을 참고하자.)
즉 Diopter가 크다는 것은 꺾이는 정도가 크다는 것이며 이는 굴절력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.
저 그림을 그대로 디옵터가 커진다고 생각했을 때, 빨간색 화살표는 아래쪽으로 더 많이 꺾이게 될 것이다.
더 많이 꺾이게 되면 광축과 만나는 순간이 짧아져서 초점거리가 짧아질 것이다.
그래서 디옵터는 굴절력을 의미하는 동시에 초점거리와의 관계가 다음과 같이 역수 형태로 쓰일 수 있다.

원시와 근시를 살펴보자.

Hypermetropia = 원시 = 망막 뒤쪽에 물체의 상이 맺힌다. = 가까이 있는 물체가 또렷하게 보이지 않는다.
Myopia = 근시 = 망막 앞쪽에 물체의 상이 맺힌다. = 멀리 있는 물체를 보는 것이 어렵다.
원시는 볼록렌즈 (convex) , 근시는 오목렌즈 (concave)를 사용해서 초점거리 (focal length)를 교정한다.
디옵터가 초점거리의 역수, 렌즈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말을 기억하면
근시일 때 적정 굴절력의 오목렌즈를 사용하여 초점거리가 망막 뒤쪽에 맺히게 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 같다.
즉, 시력을 조정할 때 렌즈를 사용하여 초점거리를 교정하고 망막에 상이 맺힐 수 있도록 한다.
시력이 안 좋을수록 교정해야 하는 거리 차이가 많다는 뜻이 될 것이고
교정을 위해 빛을 꺾어줘야 하는 정도가 클 것이다.
그래서 시력이 안 좋을수록 Diopter 값이 더 큰 렌즈를 사용하게 된다.
내 시력에 따라 교정해야 하는 초점거리가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이들의 정도를 D 앞의 숫자로 나타내며
볼록렌즈는 (+), 오목렌즈 (-)를 붙여 D라는 약호로 표시하는 것이다.
보통, 안경가게에서 도수를 측정하고 렌즈를 구입하면 디옵터의 'D'표시를 찾을 수 있다.
다음 렌즈를 살펴보면 -1.75D라고 쓰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
-1.75D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(-) : 근시이며, 렌즈의 굴절력 = 초점거리 역수 = 1.75 디옵터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다음의 시력 척도로 내 시력을 계산해보면 약 0.3 정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위키백과 : 위키백과 시력 척도
반대로 시력을 알면 디옵터 계산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+ 추가 정보
안경 처방전의 내용을 보면 Sph, Cyl 등의 약호가 있다.
Sph는 Sphere의 약자로 구면 도수 ( 근시와 원시의 정도 )를 나타내고
Cyl은 Cylinder의 약자로 난시의 정도를 뜻한다. ( AXIS 난시의 방향 )
기하광학에서 (+) 부호와, (-) 부호의 의미는 볼록과 오목, 실상과 허상, 빛의 방향성 등을 나타낼 때 그 의미가 있다.
다음에 광학 기초 편에서 다뤄보도록 하자!
렌즈의 디옵터란 무엇일까?_디옵터 시력 계산_디옵터 편
'꿀나리의 광학 이야기 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왜곡_Distortion_Aberration_5대 수차 (0) | 2020.05.24 |
---|---|
상면만곡_Curvature of image field_자이델 수차 (0) | 2020.05.23 |
비점수차는 무엇일까?_Astigmatism (0) | 2020.05.21 |
코마수차 현상의 원인_Coma Aberration (1) | 2020.05.18 |
비구면 렌즈가 비쌀 수 밖에 없는 이유_구면수차 편 (1) | 2020.05.15 |